존 A. 오스본 공항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존 A. 오스본 공항은 몬트세랫에 위치한 공항이다. 2005년 7월 11일 제럴드 여객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정기적인 상업 항공 서비스가 재개되었으며, 600m 활주로, 레스토랑, 현대식 항공 교통 관제 기술, 출입국 관리 시설을 갖추고 있다. 이 공항은 활주로 아래에 공공 터널이 있는 유일한 카리브해 공항이다. 1997년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파괴된 W. H. 브램블 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, 2008년 7월 몬트세랫 수석 장관 존 오스본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. 플라이몬트세랫 항공사가 공항 부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, 안티구아를 비롯한 여러 카리브해 지역으로 정기 및 전세 항공편을 운항한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2005년 개항한 공항 - 주부 국제공항
아이치현 도코나메시 앞바다에 위치한 해상 공항인 주부 국제공항(센트레아)은 24시간 운용 가능한 활주로를 갖춘 일본 내 두 번째 규모의 해상 공항으로, 국제 거점 공항으로서 기능하며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한 일본 3대 도시권의 항공 수요를 담당한다.
존 A. 오스본 공항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이름 | 존 A. 오스본 공항 |
원어 이름 | Gerald's Airport (제럴드의 공항) |
IATA 코드 | MNI |
ICAO 코드 | TRPG |
종류 | 공용 |
소유주 | 몬트세랫 정부 |
운영자 | 몬트세랫 정부 |
소재 도시 | 브레이즈 |
위치 | 몬트세랫 |
허브 공항 | 플라이몬트세랫 ABM 항공 |
고도 | 550 피트 |
웹사이트 | 해당 사항 없음 |
활주로 | |
활주로 번호 | 10/28 |
길이 | 553 미터 |
표면 | 아스팔트 콘크리트 |
통계 (2005년) | |
통계 자료 | 해당 사항 없음 |
기타 | |
출처 | 동카리브해 AIP (2006년 3월 16일 유효) |
2. 역사
제럴드 여객 터미널은 2005년 2월 앤 공주에 의해 헌정되었으며, 같은 해 7월 11일에 정식으로 개장되었다.[3] 이 공항은 600m 활주로, 레스토랑, 현대식 항공 교통 관제 기술, 출입국 관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, 활주로 아래에 공공 터널이 있는 유일한 카리브해 공항이다.[3] 총 건설 비용은 약 1850만달러였다.[4]
1997년 W. H. 브램블 공항이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파괴된 이후, 존 A. 오스본 공항이 완공되면서 몬트세랫에 정기적인 상업 항공 서비스가 재개되었다.
플라이몬트세랫 항공사는 공항 부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.[6]
2. 1. W. H. 브램블 공항 폐쇄
1997년, 섬의 유일한 항공 관문이었던 W. H. 브램블 공항은 인근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의 폭발로 파괴되었다.[4]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몬트세랫은 헬리콥터, 보트, 수상 비행기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.2. 2. 신공항 건설 및 개항
1997년 섬의 유일한 항공 관문이었던 W. H. 브램블 공항이 인근 수프리에르 힐스 화산 폭발로 파괴된 이후, 2005년까지 몬트세랫은 헬리콥터, 보트, 수상 비행기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.[4] 2005년 2월 앤 공주에 의해 제럴드 여객 터미널이 헌정되었으며, 같은 해 7월 11일에 정식으로 개장되었다.[3] 새 공항은 600m 활주로, 레스토랑, 현대식 항공 교통 관제 기술, 출입국 관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, 활주로 아래에 공공 터널이 있는 유일한 카리브해 공항이다.[3] 총 건설 비용은 1850만달러였다.[4] 존 A. 오스본 공항의 완공으로 1997년 이후 몬트세랫에 정기적인 상업 항공 서비스가 재개되었다.2. 3. 명칭 변경
2008년 7월, 몬트세랫의 수석 장관을 오랫동안 역임한 존 오스본을 기리기 위해 공항 이름이 변경되었다.[5]3. 운영
존 A. 오스본 공항은 몬트세랫의 유일한 공항으로, ABM 에어, 플라이몬트세랫, 트랜스 앵귈라 항공이 여러 지역으로 전세편을 운항한다.[3] 2005년에 개장한 제럴드 여객 터미널은 600m 활주로, 레스토랑, 항공 교통 관제 시설, 출입국 관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, 총 건설 비용은 1850만달러였다.[4]
3. 1. 항공사 및 취항지
항공사 | 취항지 |
---|---|
ABM 에어 | 안티구아 전세편: 바부다 |
플라이몬트세랫 | 안티구아 전세편: 앵귈라, 바베이도스, 바부다, 캐스트리스, 도미니카–카네필드, 도미니카–더글러스-찰스, 포르 드 프랑스, 네비스, 푸앵트아피트르, 생바르텔레미, 세인트 유스타티우스, 세인트 키츠, 세인트 마틴, 세인트 빈센트, 토르톨라, 비유포르 |
트랜스 앵귈라 항공 | 전세편: 앵귈라 |
3. 2. 시설
제럴드 여객 터미널은 2005년 2월 앤 공주에 의해 헌정되었으며, 2005년 7월 11일에 정식으로 개장되었다. 시설로는 600m 활주로, 레스토랑, 현대식 항공 교통 관제 기술, 출입국 관리 시설을 갖추고 있다.[3] 총 건설 비용은 약 1850만달러였다.[4] 이 공항은 활주로 아래에 공공 터널이 있는 유일한 카리브해 공항이다.[3]4. 통계
존 A. 오스본 공항의 연간 이용객 수 및 운항 횟수는 다음과 같다.[1]
연도 | 승객 | 항공기 운항 |
---|---|---|
2011 | 7,194 | 3,122 |
2012 | 7,198 | 3,244 |
2013 | 7,872 | 3,198 |
2014 | 8,390 | 3,232 |
2015 | 9,475 | 3,116 |
2016 | 8,676 | 2,792 |
2017 | 7,593 | 2,532 |
참조
[1]
웹사이트
Eastern Caribbean AIP
https://web.archive.[...]
2011-08-17
[2]
웹사이트
John A. Osborne Airport {{!}} SKYbrary Aviation Safety
https://skybrary.aer[...]
2022-09-08
[3]
웹사이트
Airport Management – Government of Montserrat
https://www.gov.ms/g[...]
2024-07-29
[4]
웹사이트
John A Osborne Airport Assist Services - JODOGO
https://www.jodogoai[...]
2024-07-29
[5]
웹사이트
Montserrat - {Travel Daily News}
https://web.archive.[...]
2022-01-13
[6]
웹사이트
Contact Us
http://www.flymontse[...]
FlyMontserrat
1990-10-08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